맨위로가기

쿠툴라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툴라 칸은 보르지긴 씨족 출신으로, 카불 칸의 아들이자 칭기즈 칸의 종손자이다. 타타르족에게 숙부 암바카이 칸이 처형당한 후 몽골 부족의 칸으로 추대되었으며, 타타르족과 금나라에 맞서 싸웠다. 그는 타타르족과의 전투 중 도주하다 늪에 빠졌으나 탈출하여 생존했고, 도르벤 부족을 공격하여 말들을 빼앗아 돌아오기도 했다. 1161년 금나라의 지원을 받은 타타르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사후 몽골은 키야트 씨족과 타이치우트 씨족으로 분열되었으며, 그의 아들 알탄은 칭기즈 칸에게 귀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묵 몽골의 칸 - 암바카이 칸
    암바가이 칸은 12세기 몽골의 타이치우드 부족 통치자이자 카마그 몽골의 칸이었으며, 타타르족에게 납치되어 금나라에 의해 처형당했고, 그의 죽음은 칭기즈 칸의 금나라 공격의 원인이 되었다.
  • 카묵 몽골의 칸 - 칭기즈 칸
    칭기즈 칸은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 몽골 제국을 창건하고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여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지배한 초대 대칸으로, 몽골 부족 통일, 군사적 역량, 상반된 평가, 제국 분열에도 불구하고 유라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61년 사망 - 대원공
    숙종의 총애를 받은 왕효는 예종 시대에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공신에 책봉되었으나 이자겸의 득세로 유배를 겪었고, 인종 즉위 후 복권되어 의종으로부터 장평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의 왕족이다.
  • 1161년 사망 - 북송 흠종
    북송 흠종은 북송의 아홉 번째 황제로, 휘종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우유부단한 성격과 실책으로 국정을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고 정강의 변으로 휘종과 함께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북송 멸망의 결정적인 시기를 맞이했다.
쿠툴라 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외게데이 호툴라 칸
한자 표기忽都剌罕
작위카마그 몽골 칸
서열카마그 몽골의 3대 칸
재위 기간1156년 – 1161년
전임자암바카이 칸
후임자예수게이
기타 작위
작위보르지긴 오복 키야트의 추장
재위 기간1156년 - 1161년
전임자암바카이
후임자예수게이
생애
출생기원전 1111년경
사망기원전 1161년경 (49–50세)
사망 장소몽골 고원
가문
가문보르지긴
아버지카불 칸
자녀알탄, 주치
친척암바카이 칸(숙부), 예수게이(조카), 칭기즈칸(질손)
종교텡그리교

2. 생애

보르지긴 씨족 카이두의 후손 카불 칸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둘째 형 바르탄 바하투르예수게이의 아버지이자 칭기즈 칸의 할아버지로, 칭기즈칸은 그의 종손자가 된다. 쿠툴라 칸의 생일과 초기 행적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당시 그의 이름은 호툴라로 불렸다.

그는 대식가에 술을 좋아했으며, 하루에 양 한 마리를 먹고 암말의 우유로 만든 술을 엄청나게 마셨다고 한다.[11] 그는 용감한 인물로 묘사된다.

쿠툴라 칸은 도르벤 부족과의 전투에서 늪에 빠졌을 때, 안장 위에 서서 뛰어올라 진흙탕에서 탈출하는 기지를 발휘했다. 건너편에 있던 도르벤 부족 사람들은 "말을 잃은 몽골인은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며 추격을 포기했다. 도르벤 부족이 떠난 뒤 쿠툴라 칸은 자신의 말을 진흙탕에서 끌어냈으며, 도르벤인 영지를 공격하여 그들의 말들을 빼앗아 귀환했다.

쿠툴라 칸 사후, 몽골의 보르지긴 씨족은 키야트 씨족과 타이치우트 씨족으로 나뉘었다. 키야트 씨족은 예수게이 바아토르, 타이치우트 씨족은 탈구타이 키릴투크(암바가이 칸의 손자)가 통솔했다.

2. 1. 타타르족과의 전쟁

암바카이 칸타타르족의 모함으로 납치되어 금나라에 의해 처형당하자, 몽골 족은 오난 강 고루고나쿠 강변으로 이동하여 쿠릴타이를 열고 쿠툴라를 새로운 칸으로 선출했다. 쿠툴라는 암바카이 칸의 유언에 따라, 암바카이 칸의 아들 카다안 타이시와 함께 타타르 족 토벌에 나섰다. 쿠툴라 칸과 카다안은 코톤 카라크와 자리크부카 등이 이끄는 타타르족과 13회에 걸쳐 교전하였으나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12]

13번째 타타르 족 원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몽골족의 다른 부족인 도르벤 부족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다. 쿠툴라 칸은 습지로 도주하여 진흙탕에 빠졌다가 겨우 탈출했다. 먼저 도망친 종자에 의해 쿠툴라 칸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예수게이 등에 의해 한때 장례식이 준비되기도 했다.[12]

1161년 금나라타타르와 연합하여 카묵 몽골을 침략했고, 금-타타르 연합군은 몽골 족을 완전히 격파하고 카묵 몽골을 파괴하였다. 예수게이가 그의 장례식을 준비했다는 것으로 보아 그해 살해되었으나, 정확한 사망일자는 전해지지 않는다.[2]

2. 2. 금나라와의 전쟁

암바카이 칸타타르족의 모함으로 납치되어 금나라에 의해 처형되자, 몽골 족은 오논 강 고루고나쿠 강변에 모여 쿠릴타이를 열고 쿠툴라 칸을 새로운 칸으로 선출했다. 쿠툴라 칸은 암바카이 칸의 유언과 복수를 위해 타타르 족 토벌에 나섰다. 그는 케레이트 족의 족장 토그릴 옹 칸과 동맹을 맺었다.[2]

쿠툴라 칸은 암바카이 칸의 아들 카다안 타이시와 함께 타타르족의 코톤 카라크와 자리크부카 등이 이끄는 타타르족과 13회에 걸쳐 교전하였으나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4][5] 13번째 타타르 족 원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몽골족의 다른 부족인 도르벤 부족에게 매복 공격을 당해 습지로 도주하여 진흙탕에 빠졌다가 겨우 탈출하기도 했다. 이때 먼저 도망친 종자에 의해 쿠툴라 칸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예수게이 등에 의해 한때 장례식이 준비되기도 했다.[6][12]

1161년 금나라타타르와 연합하여 카묵 몽골을 침략, 금-타타르 연합군은 몽골 족을 완전히 격파하고 카묵 몽골을 파괴하였다.

3. 유산

쿠툴라 칸 사후 몽골 지역의 보르지긴 씨족은 키야토 가문과 타이치우트 가문으로 나뉘었다. 키야토 가문은 예수게이 비아토르가, 타이치우트 가문은 타르구타이 키리투도크(암바카이 칸의 손자)가 차지하였다.[3]

쿠툴라 칸에게는 주치(칭기즈칸의 장남 주치와는 동명이인)와 알탄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몽골비사에 따르면 알탄은 아버지의 뒤를 이으라는 주변의 권고를 물리치고, 칭기즈칸에게 귀부하였다 한다.[3]

칭기즈 칸이 나타날 때까지 몽골에서는 칸이 등장하지 않았다. 쿠툴라 칸의 조카 예수게이는 1171년 사망할 때까지 카마그 몽골을 감독했을 뿐이다.[3]

4. 인물

보르지긴 씨족으로 카이두의 후손 카불 칸의 다섯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미상이다. 그의 둘째 형 바르탄 바하투르예수게이의 아버지이자 칭기즈 칸의 할아버지로, 칭기즈칸은 그의 종손자가 된다. 쿠툴라 칸의 생일과 초기 행적은 기록이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그가 살던 당대에 그의 이름은 호툴라로 칭해졌다.[1]

그는 대식가에 술을 좋아했다 한다. 기록에 의하면 쿠툴라는 하루에 양 한 마리를 먹고, 암말의 우유로 만든 술을 엄청나게 마셨다 한다.[11] 그는 용감한 인물로 묘사된다.

숙부 암바카이 칸타타르족의 모의로 납치, 금나라에 의해 수레에 못박혀 처형되고, 몽골 족은 오난 강 고루고나쿠 강변으로 이주하였다. 암바카이 칸의 사망 소식을 접한 몽골인들은 쿠릴타이를 열어 쿠툴라를 새로운 칸으로 선출했다. 쿠툴라는 타타르금나라의 연합에 대응하여 케레이트 족의 족장 토그릴 옹 칸과 동맹을 맺었다.

쿠툴라 칸은 암바카이 칸의 유언과, 암바카이 칸, 오킨 바락 형제의 납치에 대한 보복으로, 암바카이 칸의 아들 카다안 타이시와 함께 타타르 족 토벌에 출전했다. 쿠툴라 칸과 카다안은 코톤 카라크와 자리크부카 등이 이끄는 타타르족과 13회에 걸쳐 교전하였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13번째 타타르 족의 원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몽골족의 다른 부족인 도르벤 부족에게 매복 공격을 당해, 습지로 도주하여 진흙탕에 빠졌다가 겨우 탈출하기도 했다. 예수게이와 그의 친척들은 쿠툴라가 죽었다고 보았다.

습지에 빠져 말의 목까지 차오르자, 쿠툴라 칸은 안장 위에 서서 뛰어올라 진흙탕으로부터 탈출했다. 건너편에 있던 도르벤 부족 사람들은 "말을 잃은 몽골인은 무엇이 있겠는가"라며 추격을 포기했다. 도르벤 부족이 떠난 뒤 쿠툴라 칸은 발길을 돌려 자신의 말을 진흙탕에서 끌어냈으며, 도르벤인 영지를 공격하여 그들의 말들을 빼앗아 귀환했다. 쿠툴라 칸의 휘하에서 먼저 도망친 종자에 의해 쿠툴라 칸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예수게이 등에 의해 한때 장례식이 준비되기도 했다.[12] 쿠툴라가 귀환했을 때 그의 부족은 그의 장례식을 진행하고 있었다.

1161년 금나라타타르와 연합하여 카묵 몽골을 침략, 금-타타르 연합군은 몽골 족을 완전히 격파하고, 카묵 몽골을 파괴하였다. 예수게이가 그의 장례식을 준비했다는 것으로 보아 그해 살해되었으나, 정확한 사망일자는 전하지 않는다.

그의 생애 대부분은 《몽골비사》와 《집사》에 묘사되어 있다. 그는 아버지의 다섯째 아들[1]로 용감하고 용기 있는 통치자로 묘사되었다. 그는 타타르족과 금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케레이트의 토그릴과 동맹을 맺었다. 그는 암바가이와 그의 형제 오킨 바르카크가 조카 카아단 타이시 및 예수게이와 함께 납치되어 처형된 것에 대한 보복으로 타타르족을 약탈했다. 몽골족은 타타르족 지도자 코톤 바라크와 잘리 부카와 13번이나 충돌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그는 습격에서 돌아온 후 도르벤 오이라트족에게 매복 공격을 받아 예수게이와 그의 친족들에게 죽은 것으로 여겨졌다. 그는 1161년 금나라의 지원을 받은 타타르족과 싸우다 사망했다.[2]

그 이후 칭기즈 칸이 나타날 때까지 몽골에서는 칸이 등장하지 않았다. 그의 조카 예수게이는 1171년 사망할 때까지 카마그 몽골을 감독했을 뿐이다. 그는 조치와 알탄이라는 두 아들을 두었다. 『몽골비사』에 따르면 알탄은 아버지의 뒤를 잇는 요청을 거부하고 칭기즈 칸에게 복종했다.[3]

쿠툴라 칸은 몽골의 음유시인이 열애하는 영웅이 되었다. 음유시인은 그의 시에서, 그의 웅장한 목소리는 천둥 소리처럼 산악 속에 울려 퍼지고, 그의 완력은 곰의 손바닥과도 같아서, 화살을 꺾는 것과 같이 쉽게 인간을 둘로 꺾었다고 칭송했다. 또한, 그는 겨울밤, 거목을 태운 화로 곁에서 알몸으로 누워, 그의 몸에 튀는 불꽃에도, 불씨에도 아무런 느낌을 받지 못했고, 눈을 뜨면, 그 화상을 곤충의 벌레 물린 자국 정도로밖에 생각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그는 하루에 양 한 마리를 통째로 먹고, 암말의 젖으로 만든 술을 엄청나게 마셨다고 한다.

5. 가계

쿠툴라 칸은 보르지긴 씨족으로 카이두의 후손이자 카불 칸의 다섯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둘째 형 바르탄 바하투르예수게이의 아버지이자 칭기즈 칸의 할아버지로, 칭기즈 칸은 그의 종손자가 된다.[1]

쿠툴라 칸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다.

이름비고
주치 (J̌öči~J̌oči,Jöčī Xān)
길마우 (Girma'u)
알탄 (Altan,Āltān)키야트 사야르 씨의 조상으로 추정, 칭기즈 칸에게 귀부[3]



참조

[1] 서적 Rashiduddin Fazlullah's Jamiʻuʼt-tawarikh Harvard University, Dept. of Near Easter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8-25
[3]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nd Other Pie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5-13
[4] 문서 無限の意。これはモンゴルにおける数詞の用い方である。≪村上 1970,p77≫
[5] 문서 村上 1970,p76-77
[6] 문서 佐口 1968,p29-30
[7] 문서 "[[ポール・ペリオ]]によると、「ギル」gir~kir~kkirとは「匂い」、「マウ」mau<maγuは「悪い」の意で、「悪臭」の意となる。こうした人名は当時のモンゴルでは必ずしもおかしな名ではなかった。似たようなのに、「旭邁傑」Hümegei(「臭い」)という人名もあった。≪村上 1970,p64≫"
[8] 문서 「黄金」の意。
[9] 문서 村上 1970,p60
[10] 문서 佐口 1968,p29
[1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1〉 東洋文庫
[1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1〉 東洋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